2025년 공공임대 청약을 노리고 있다면, 지금 내 소득이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게 가장 먼저입니다.
안녕하세요! 공공임대주택 청약, 관심은 많은데 막상 조건을 따져보면 복잡한 게 현실이죠. 저도 처음엔 '소득기준'이 제일 헷갈리더라고요. 내 월급으로 과연 신청이 가능한지, 어디까지 인정되는 소득인지, 가족 수에 따라 기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매번 찾아보게 되죠.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적용되는 소득기준표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신청 가능 여부를 한눈에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 테니, 이 글 하나로 확실히 체크하고 가세요!
목차
2025년 공공임대 소득기준 총정리
공공임대주택은 신청 시 가구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자격을 갖습니다. 이 기준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매년 소폭 조정됩니다. 2025년 기준은 2023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3인 기준 약 648만 원)을 바탕으로 산정됩니다.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유형별로 적용 기준이 다르며, ‘기준 중위소득’과 헷갈릴 수 있으니 꼭 도시근로자 기준으로 확인하셔야 해요.
가구원 수별 소득기준표
가구원 수가 많아질수록 기준은 올라갑니다. 아래 표는 2025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70%, 100%, 120%를 정리한 자료입니다.
가구원 수 | 70% 이하 | 100% | 120% |
---|---|---|---|
1인 | 약 180만 원 | 약 257만 원 | 약 308만 원 |
2인 | 약 250만 원 | 약 358만 원 | 약 430만 원 |
3인 | 약 320만 원 | 약 457만 원 | 약 548만 원 |
👨👩👧 가구원 수에 따라 조건이 달라진다구요!?
가구원 수에 따른 공공임대 소득 및 자산 기준 완벽 정리
임대주택 유형별 소득요건 차이
공공임대주택의 유형에 따라 소득요건도 달라집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분이 있습니다:
- 국민임대주택: 70% 이하
- 영구임대주택: 최저생계 수준
- 행복주택(청년): 100% 이하
- 신혼부부 매입임대: 120% 이하
소득 산정 기준과 주의사항
소득은 단순히 월급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합산 소득’ 기준으로, 가구 구성원 전체의 소득을 포함하며 아래 항목이 모두 반영됩니다.
-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 실업급여, 가족수당, 아르바이트 수입 포함
- 연소득을 12개월로 나눈 '월 평균소득' 기준
주의: 비과세 소득도 일부 포함되며,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역산하는 경우도 많아 신고 누락에 주의하세요.
👉 청년·신혼부부는 어떤 기준일까?
2025년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경쟁률은 얼마나 될까?
자주 묻는 케이스별 가능 여부
- 월급은 300만 원인데, 청년 행복주택 신청 가능할까? → 불가능 (1인 가구 100% 초과)
- 부부 소득 합산 400만 원, 자녀 1명 → 가능 (3인 기준 70% 이하 충족)
- 프리랜서 소득 + 아르바이트 혼합 → 모두 포함되어 심사
📱 청약홈 vs 모바일 신청, 뭐가 더 편할까?
청약홈 · 모바일 모두 OK! 공공임대주택 신청 방법 A to Z
세대원 전체의 최근 3개월 소득을 기준으로 연환산 후 12로 나눠 산정합니다.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월평균 소득을 역산하여 간주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네, 가구원 수가 늘어나면 기준 소득도 함께 상향 조정됩니다.
소득기준이 복잡하다고 느끼셨나요?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가진 소득으로 어떤 임대 유형에 신청 가능한지 조금 더 명확히 판단하셨길 바랍니다. 공공임대는 제한도 많지만, 제대로 이해하고 준비하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어요. 내 소득이 맞는지 헷갈릴 땐 건강보험료 기준도 함께 살펴보는 걸 추천드려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 살 집,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정보는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