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 복지정책/청년복지

2025학년도 대학 추가 모집 분석 및 지원 전략

by 라이프 탐험 2025. 2. 25.

2025학년도 대학 추가 모집 인원이 확정 발표되었습니다. 많은 수험생들이 추가 모집 인원이 크게 줄어든 것에 대해 아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추가 모집은 정시에서 불합격한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전형입니다.  올해 대학 결정이 되지 않은 학생들은 추가 모집을 활용하여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원하는 대학에 합격할 수 있도록 철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추가 모집 인원 변화, 주요 대학별 모집 현황, 지원 전략 및 팁을 상세히 분석하여 제공하겠습니다. 추가 모집을 고려하는 학생들은 대학별 인원 감소 및 증가 추이, 경쟁률 변화, 지원 방법 등을 철저히 분석하여 전략적인 원서 접수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 추가 모집 인원 변화

올해 대학 추가 모집 인원은 총 9,310명으로 전년도의 12,460명보다 약 3,150명 감소했습니다.

학년도 추가 모집 인원(명) 비고
2023학년도 17,561명 학령인구 감소 영향 시작
2024학년도 12,460명 추가모집 인원 감소 추세
2025학년도 9,310명 추가모집 인원 대폭 감소

📢 분석

  • 추세: 추가모집 인원이 매년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 정원 미달 문제의 심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 2023 → 2024 변화: 약 5,101명 감소 (29% 감소).
  • 2024 → 2025 변화: 약 3,150명 감소 (25% 감소).

추가모집 인원이 줄어들면서 대학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수험생들에게는 지원 가능한 선택지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분 감소한 주요 원인  증가한 주요 원인
지방 대학 통폐합 및
구조조정
지방 사립대의 정원 감축으로 추가
모집 인원이 대폭 감소
-
수능 쉬운 난이도 &
동점자 증가
중위권 대학의 충원율 증가로 추가
모집 감소
-
대학의 선발
방식 변화
정시 충원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추가 모집 최소화
-
서울 주요 대학
충원율 감소
- 서울권 대학 중심으로 추가 모집 인원이 증가
수능 위주
전형 확대
- 상위권 대학에서 정시 이월 인원이 증가하여 추가 모집 진행
무전공
전형 확대
- 무전공 선발로 인해 정시 추합(충원 합격) 발생, 미충원 인원이 추가 모집으로 이어짐

📢 분석

  • 지방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와 구조조정으로 인해 추가 모집 인원이 줄어드는 반면, 서울권 및 상위권 대학은 무전공 전형 확대와 정시 이월 인원 증가로 인해 추가 모집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특히,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된 영향도 중위권 대학의 충원율 변화에 영향을 주며 지역별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 전형별 추가 모집 인원 변화

전형별 모집 인원도 전년도 대비 감소하였으며, 특히 학생부 교과·종합 전형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전형 유형 2024학년도 2025학년도 증감
수능 위주 전형 5,211명 3,736명 -1,475명
학생부 교과 전형 7,228명 5,559명 -1,669명
학생부 종합 전형 529명 247명 -282명
실기·특기자 전형 121명 80명 -41명

📢 주요 특징:

  •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가장 크며, 전체 추가 모집의 40% 이상 차지
  • 학생부 교과/종합 전형 감소 → 수능 성적이 낮은 학생들에게 불리
  • 비수능 전형(실기·특기자) 감소 → 예체능 계열 학생들에게 불리


🟢 수도권 주요 대학 추가 모집 인원

올해 수도권 대학의 추가 모집 인원은 일부 증가한 반면, 중위권 대학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대학명2024학년도 추가 모집2025학년도 추가 모집증감

대학명 2024학년도 추가 모집 2025학년도 추가 모집 증감
중앙대학교 9명 17명 ▲ 8명
서울시립대 198명 255명 ▲ 57명
한국외대 24명 30명 ▲ 6명
건국대학교 15명 43명 ▲ 28명
동국대학교 12명 36명 ▲ 24명
홍익대학교 31명 48명 ▲ 17명
숙명여대 5명 133명 ▲ 128명
세종대학교 56명 22명 ▼ 34명
서울과기대 20명 12명 ▼ 8명
숭실대학교 18명 34명 ▲ 16명
국민대학교 29명 21명 ▼ 8명
인하대학교 40명 25명 ▼ 15명
아주대학교 12명 19명 ▲ 7명

📌 수도권 대학 추가 모집 특징:

  1. 서울 주요 대학(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등) 추가 모집 인원 증가
  2. 중위권 대학(세종대, 서울과기대, 국민대 등) 추가 모집 인원 감소
  3. 숙명여대 추가 모집 대폭 증가 (133명)

✅ 전략적 지원 팁:

  • 수도권 인기 대학들은 수능 점수가 높아야 합격 가능성이 있음
  • 중위권 대학은 비교적 낮은 점수로 합격 가능성이 높음
  • 수능 점수 낮다면 학생부 교과·종합 전형 활용

✅ 추가 모집 원서 접수 핵심 전략

1️⃣ 오전 10시에 ‘진학사·유웨이’ 실시간 경쟁률 확인
추가 모집은 경쟁률 변동이 심함 → 실시간 확인 필수

다음은 진학사 유웨이의 인터넷 주소입니다:

이 두 사이트는 대학 수시, 정시, 추가모집 등 원서접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모집 마감 직전 원서 접수 진행

  • 추가 모집은 마지막 날 마감 직전 경쟁률을 보고 지원하는 것이 유리
  • 경쟁률이 급등하는 학과를 피하고, 경쟁률 낮은 학과를 선택

3️⃣ 나의 성적에 맞는 대학 & 학과 분석

  • 수능 위주 vs 학생부 교과·종합 전형별 장단점 고려
  • 정시 반영 비율 (탐구 과목 가중치, 사탐/과탐 반영 여부 등) 확인

4️⃣ 모집 인원 변동 체크

  • 추가 모집 기간 동안 모집 인원이 증가할 가능성 있음
  • 추가 모집 인원이 증가한 학과를 공략

5️⃣ 수도권 vs 지방 대학 신중한 선택

  • 수도권 경쟁률 상승 가능성 높음 → 안정 지원 전략 필요
  • 지방 대학은 추가 모집 인원이 감소 → 경쟁률 상대적으로 낮음

📌 결론 및 요약

✔ 2025학년도 추가 모집 인원은 9,310명으로 전년 대비 3,150명 감소
✔ 지방 사립대 추가 모집 인원 대폭 감소 → 서울 주요 대학 일부 증가
✔ 수능 위주 전형 비중 가장 크며, 학생부 교과·종합 전형 줄어듦
✔ 추가 모집 원서 접수는 반드시 마지막 날 경쟁률 보고 결정
✔ 수능 성적 낮다면 학생부 교과·종합 전형 활용 가능

🔥 추가 모집은 마지막 기회! 신중한 원서 지원 전략을 수립하여 원하는 대학에 꼭 합격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