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출산 및 초기 지원 항목

항목 | 세부 내용 | 지원 금액 | 대상 및 조건 |
첫만남이용권 | 출생아당 초기 양육비 지원 (2025년부터 현금 지급 가능) |
200만~300만 원 | 모든 출생아 대상.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 가능. |
출산지원금 | 지역별 추가 지원금 지급 | 최대 500만 원 | 거주지 관할 지자체에서 확인 필요.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
국민행복카드 사용 의료비 지원 |
120만~140만 원 | 임신 확인 후 신청 가능. 분만취약지 거주 시 추가 20만 원 지급. |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저소득층, 장애인 가구, 다자녀 가구 대상 |
기저귀 월 9만 원, 조제분유 월 11만 원 |
만 2세 미만 영아 대상.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사 파견 서비스 |
서비스 비용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대상. |
📌 신청 조건 및 방법

항목 | 신청 조건 | 신청 방법 | 제출 서류 |
첫만남이용권 | 출생 신고 완료된 대한민국 국적의 출생아 |
- 온라인: 복지로, 정부24 -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출생증명서 |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만 2세 미만 영아, 저소득층 및 다자녀 가구 |
- 온라인: 복지로 - 오프라인: 보건소 방문 |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소득 증빙자료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 온라인: 복지로 - 오프라인: 보건소 방문 |
임신확인서, 주민등록등본, 신분증 |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150% 금액
가구원 수 | 기준 중위 소득(원) | 기준 중위 소득 150%(원) |
1인 가구 | 2,392,013 | 3,588,019 |
2인 가구 | 3,932,658 | 5,898,987 |
3인 가구 | 5,025,353 | 7,538,029 |
4인 가구 | 6,097,773 | 9,146,659 |
5인 가구 | 7,108,192 | 10,662,288 |
6인 가구 | 8,064,805 | 12,097,207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