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출산 지원금 총정리! 첫만남이용권부터 산후조리비까지 한눈에

by 라이프 탐험 2025. 2. 22.
반응형

출산지원금 총정리

📌 출산 및 초기 지원 항목

첫만남이용권 출산지원금
항목 세부 내용 지원 금액 대상 및 조건
첫만남이용권 출생아당 초기
양육비 지원
(2025년부터 현금 지급 가능)
200만~300만 원 모든 출생아 대상.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 가능.
출산지원금 지역별 추가 지원금 지급 최대 500만 원 거주지 관할 지자체에서
확인 필요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국민행복카드 사용
의료비 지원
120만~140만 원 임신 확인 후 신청 가능.
분만취약지 거주 시
추가 20만 원 지급.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가구,
다자녀 가구 대상
기저귀 월 9만 원,
조제분유
월 11만 원
만 2세 미만 영아 대상.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사 파견 서비스
서비스 비용 일부
또는 전액 지원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대상.

📌 신청 조건 및 방법

항목 신청 조건 신청 방법 제출 서류
첫만남이용권 출생 신고 완료된
대한민국
국적의 출생아
- 온라인: 복지로, 정부24
-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출생증명서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만 2세 미만 영아,
저소득층 및 다자녀 가구
- 온라인: 복지로
- 오프라인: 보건소 방문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소득 증빙자료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온라인: 복지로
- 오프라인: 보건소 방문
임신확인서, 주민등록등본, 신분증

📌 유의사항
  • 첫만남이용권 신청 기한: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출생 후 만 2년이 되는 날 전까지 신청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60일까지
  • 각 지자체의 출산지원금 신청 기한 및 지원 금액은 지역별로 상이
  • 온라인 신청: 복지로, 정부24
  • 오프라인 신청: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 방문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150% 금액

가구원 수 기준 중위 소득(원) 기준 중위 소득 150%(원)
1인 가구 2,392,013 3,588,019
2인 가구 3,932,658 5,898,987
3인 가구 5,025,353 7,538,029
4인 가구 6,097,773 9,146,659
5인 가구 7,108,192 10,662,288
6인 가구 8,064,805 12,097,2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