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지원 대상
- 아동의 연령이 12세 이하
- 부모의 취업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
- 자녀양육 정부지원 중복 금지
-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선정 기준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연령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간제 서비스: 생후 3개월~12세 이하
- 영아종일제 서비스: 생후 3개월~36개월 이하
- 미숙아(이른둥이)의 경우 40개월까지 이용 가능
📌 우선 지원 대상
지원 제외 대상
※ 부모 모두 비취업 상태로 가정에서 아동을 양육할 수 있는 경우,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우선 지원 대상
우선 순위 | 세부 기준 |
① 맞벌이 가정, 취업 한부모 가정 |
부모 모두가 취업 중이거나, 취업한 한부모 가정(조손가족 포함) |
② 장애 부모 가정 | 가정에서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장애인 ※ 단, 휴직 또는 전업 양육자가 비장애인인 경우는 지원 제외 |
③ 다자녀 가정 |
|
④ 다문화 가정 |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에 해당하는 가정으로, 12세 이하 아동 2명 이상 |
⑤ 기타 양육 부담 가정 |
|
📌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 주요 지원 내용 |
시간제 아이돌봄 | - 부모가 퇴근할 때까지 임시 보육 - 놀이 활동 및 학습 보조 - 보육시설 및 초등학교 등하원(교) 동행 - 준비된 식사 및 간식 챙겨주기 |
영아 종일제 아이돌봄 | - 이유식 먹이기 및 젖병 소독 - 기저귀 갈기 및 목욕 지원 - 안전한 실내외 놀이 및 정서적 교감 - 생후 3개월~36개월 이하 영아 대상 |
📌 1시간당 정부 지원금
가형: '18.1.1. 이후 출생 아동 / 나형: '17.12.31. 이전 출생 아동
일반가정 시간제 아이돌봄(기본형)
소득 기준 | 가형 지원금(시간당) | 나형 지원금(시간당) |
가형 (중위소득 75% 이하) | 10,354원 | 9,136원 |
나형 (중위소득 120% 이하) | 7,308원 | 4,872원 |
다형 (중위소득 150% 이하) | 3,654원 | 2,436원 |
한부모, 장애부모, 장애아동, 청소년부모 시간제 아이돌봄(기본형)
소득 기준 | 가형 지원금(시간당) | 나형 지원금(시간당) |
가형 (중위소득 75% 이하) | 10,962원 | 9,744원 |
나형 (중위소득 120% 이하) | 7,308원 | 4,872원 |
다형 (중위소득 150% 이하) | 3,654원 | 2,436원 |
청소년(한)부모, 0~1세 자녀 양육 가정 시간제 아이돌봄(기본형)
소득 기준 | 지원금 (시간당) |
가형~다형 (중위소득 150% 이하) | 10,962원 |
일반가정 영아종일제
소득 기준 | 소득 기준 |
가형 (중위소득 75% 이하) | 10,354원 |
나형 (중위소득 120% 이하) | 7,308원 |
다형 (중위소득 150% 이하) | 3,654원 |
한부모, 장애부모, 장애아동, 청소년부모 영아종일제
소득 기준 | 소득 기준 |
가형 (중위소득 75% 이하) | 10,962원 |
나형 (중위소득 120% 이하) | 7,308원 |
다형 (중위소득 150% 이하) | 3,654원 |
청소년(한)부모, 0~1세 자녀 양육 가정 영아종일제
소득 기준 | 지원금(시간당) |
가형~다형 (중위소득 150% 이하) | 10,962원 |
📌 2025년 가구 소득 기준
소득 기준 산정 방법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고지액을 기준으로 산정
- 건강보험 미가입 사업장 취업자는 별도 소득 파악
- 가구원의 범위: 생계 및 주거를 같이 하는 아동의 2촌 이내 가족, 직계존비속 및 배우자 포함
- 소득 합산 대상자의 범위는 가구원의 범위와 동일
- 부모가 이혼한 경우, 친권자 또는 실거주하는 부모의 소득만 산정
2025년 가구원 수별 소득 기준 (4인 가족 기준)
기준 중위소득 비율 | 월 소득 기준 |
75% 이하 | 4,574,000원 |
120% 이하 | 7,318,000원 |
150% 이하 | 9,147,000원 |
📌 신청 방법
-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
📌 아이돌봄 서비스 필요 서류 및 온라인 발급처
필요 서륩 | 온라인 발급처 | 발급 방법 |
주민등록등본 | 정부24 | 정부24 로그인 → 민원서비스 → 주민등록등본 발급 |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 공인인증서 로그인 → 민원신청 → 납부확인서 출력 |
가족관계증명서 |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 공동인증서 로그인 → 가족관계등록부 발급 |
부모의 재직증명서 | 해당 회사 | 소속 회사 인사팀 또는 전자문서 시스템에서 발급 |
근로계약서 | 해당 회사 또는 국민신문고 | 소속 회사 인사팀 요청 또는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