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 복지정책/출산 양육 복지

2025년 난임 시술비 지원 총정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by 라이프 탐험 2025. 3. 16.

난임 시술비 지원 총정리
난임 시술비 지원 총정리

난임은 많은 부부들에게 신체적·정신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최근 정부의 난임 지원 정책이 확대되면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보다 체계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어요. 2025년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난임 시술비 지원 정책은 소득 기준을 폐지하고, 난임 진단을 받은 모든 부부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에요.

이번 정책 개편으로 체외수정 및 인공수정 시술비 지원이 확대되었고, 난자·정자 동결 및 가임력 검사까지 폭넓게 지원받을 수 있어요. 또한, 난임 휴가 확대 및 지역별 추가 지원도 강화되었는데요. 그렇다면, 2025년 기준 난임 시술비 지원 정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함께 살펴볼까요? 😊

📌 지원 대상

난임 시술비 지원 지원대상

  • 난임 진단을 받은 모든 부부 (소득 기준 폐지)
  • 난임시술을 요하는 의사의 ʻ난임진단서ʼ 제출자
  • 법적 혼인상태에 있는 난임부부 및 사실혼 관계(단, 2회차부터 신청 가능하며, 최초 신청은 관할 보건소에 방문 필요)
  • 부부 중 최소한 한명은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대한민국 국적 소유자 이면서, 부부 모두 건강보험 가입 및 보험료 고지 여부가 확인되는 자

📌 지원 내용

난임 시술비 지원 지원 내용

  • 체외수정(신선배아, 동결배아) 및 인공수정 시술비 지원
  • 건강보험 적용 본인부담금의 90% 지원
  • 비급여 3종 (배아 동결, 착상 보조제, 유산방지제) 추가 지원

📌 지원 횟수 및 금액

난임 시술비 지원 지원횟수

💰 시술별 지원 한도

지원 항목 지원 횟수 1회 지원 금액
출산당 지원 횟수 최대 25회 -
신선배아 제한 없음 110만 원
동결배아 제한 없음 50만 원
인공수정 제한 없음 30만 원

📌 추가 지원

  • 서울시: 난임시술 중단 의료비 지원 (의학적 사유로 시술 중단 시)
  • 일부 지역: 본인부담금 추가 지원 (예: 이천시 10% 추가 지원)

📌 기타 지원

  • 난임 휴가 확대: 3일(유급 1일) → 6일(유급 2일)로 확대
  • 가임력 검사: 모든 남녀 대상 최대 3회 지원
  • 난자·정자 동결·보존 비용 지원

📌 신청 방법

  • 거주 지역 보건소 방문 신청
  • 온라인 신청:  e보건소(www.e-health.go.kr)

📌 함께보면 좋은 글